IT분야(IT기기, 디스플레이, 통신장비 및 소프트웨어), 제어분야 (제어시스템 및 솔루션, 모션제어기, 산업용 제어기, 무선제어기), 센서분야(초음파센서, IoT센서, 차량용센서, 공장자동화센서, 산업용 전문센서, 가스유량센서 등), 로봇분야(산업용로봇, 의료용로봇, 방산용로봇, 로봇 및 기계설계, 응용프로그래머, 머신비전 및 자동화, 서비스로봇), 자동차분야(자동차센서, 자동차완성품, 자동차전장품), 반도체장비(웨어퍼이송장비, 정밀제조장비, 계측검사장비, 반도체 검사장비), 중공업-엔지니어링(선박구조물설계 및 제어, 태양광발전, 공기조화, 공정제어), 산업전자, 반도체장비(웨어퍼이송장비, 정밀제조장비, 계측검사장비, 반도체 검사장비), 계측분야(플랜트계측제어, 유량-압력-온도-힘 측정, 환경계측) 등 우리나라의 근간이 되는 주요 산업영역을 아우른다. 향후에도 이런 산업영역의 발전은 지속적일 것으로 전망되며, 본 학과 졸업생들의 미래는 매우 밝다고 할 수 있다.
구분(단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12월 취업률 (건강보험 및 국세DB연계 기준) | 92.0 | 87.5 | 88.6 |
2차 유지 취업률 | 97.6 | 100 | 88.0 |
진출 업체 | 2017년 대기업, 공기업, 해외취업자 현황
대기업(12): 삼성전자(R&D)1 삼성전자(R&D)2 기아자동차1 기아자동차2 기아자동차3 SK하이닉스 LG전자(R&D) LG디스플레이 KT(R&D) KCC 현대건설 LG이노텍
공기업(5): 한국전력1 한국전력2 한국철도공사(코레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서울교통공사
해외(2): Sanei Kensetsu(일본) 히로세코리아(일본)
• 공기업: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철도공사, 한전KPS, 중부도시가스, 한국전력기술, 한국동부발전, 세종시청, 논산시청, 등. |
대학원 진학 | • 고려대 제어계측공학과(전자•기계융합공학과) • 고려대 기계공학과(안암), 전기전자공학과(안암) • 광주과학기술원(GIST)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 성균관대 • 한양대 • 해외유학(일본 Kyoto대, 동경공업대(TIT), 등) |
아래의 표는 고용노동부에서 작년에 발표한 2014~2024 대학 전공별 인력수급 전망이다. 이 자료에 의하면 전기.전자 및 기계.금속 분야는 앞으로도 계속 인력부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본 학과의 전망은 매우 밝다고 할 수 있다.
※ 출처: ’14~’24 대학 전공별 인력수급전망, 고용노동부, 단위(천명)
본 학과는 진로지도의 1차 목표를 체계적인 전공지식과 인성을 갖춘 인재 양성으로 삼고 교육에 임하고 있다. 전공 지식의 내실화와 종합적 사고력을 배양하는 교육에 심혈을 기울여 왔으며, 매년 교육과정의 점검 개선을 통하여 교육의 성과와 수월성을 높이고 있다. 학생 1인이 수강해야하는 필수 실험실습과목을 8과목으로 지정하여 실험실습을 통해 실무능력을 내재화 시킬 수 있는 기회를 넓히고 이론과 실기가 잘 융합된 전문화된 교육을 제공하는데 노력해 오고 있다.